📘 2025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지침 총정리
― 실무자부터 정책 담당자까지 꼭 알아야 할 운영 매뉴얼
2025년 2월, 환경부는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지침」을 개정하여 고시했습니다.
이번 지침은 단순한 운영요령이 아닌, 하수도시설 운영의 표준화와 체계화, 그리고 법정 기준 이행을 위한 종합 가이드라인을 담고 있어 하수도관리청, 위탁업체, 기술진단기관 등 실무 관계자 모두에게 꼭 필요한 문서입니다.
📌 지침 구성 목차
다음은 2025년 지침서의 실제 목차입니다:
Ⅰ. 공공하수도 유지‧운영관리 주체
- 운영권한과 책임에 대한 정의
Ⅱ. 공공하수도 유지관리지침서 작성·비치
- 지침서 작성 시기, 대상, 항목, 비치 및 변경관리 방법
Ⅲ.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관리
- 시설의 일반사항 관리
- 주요 공정별 관리방안
- 에너지 절감 및 자립화 방안
- 재이용수 관리
- 하수찌꺼기(슬러지) 관리
Ⅳ. 공공하수도 주요시설별 운영관리
- 하수도 관련 일반사항
- 공정별 관리 및 점검사항
- 하수관로 유지관리
Ⅴ. 공공하수도 지도‧점검
- 점검대상 및 횟수
- 점검항목 및 절차
- 결과보고서 작성 및 조치사항
Ⅵ. 기타 행정사항
- 지침의 적용, 예외사항, 이전 지침의 폐지 등
🧭 주요 내용 요약
✅ 유지관리지침서, 전 시설 의무 작성!
- 신규 설치 또는 개선된 하수도시설은 운영개시 전 유지관리지침서를 작성하고, 매년 검토 및 갱신 필요
- 시설 개요, 주요 운영지표, 공정별 관리방안, 비상대응계획 등이 포함되어야 함
✅ 공정별 운영관리 기준 상세 제시
- 물리적 처리(침사지, 유량조정조 등)
- 생물반응조, 이차침전지, 방류구 등 공정별 관리사항
- 총인처리, 소독, 자동유지관리 등 첨단설비 운영지침
- 각종 계측기의 보수주기와 오차보정 요령까지 수록
✅ 슬러지 및 악취관리도 포함
- 농축·소화·탈수·소각 등 슬러지 처리계통별 관리요령
- 탈취설비, 환기, 소포 대책 등 작업환경 개선사항 포함
✅ 하수관로 유지관리 세부사항
- 점검주기(연1회 이상), 점검대상(암거, 맨홀, 사이펀 등),
- 월류수, 침입수, 악성폐수 유입 등 세부 점검포인트 제공
✅ 재난·비상대응 매뉴얼 강화
- 정전, 기계고장, 홍수 등 자연재난에 대비한 비상전원 확보계획, 통보절차, 주민홍보 방안 명시
📝 실무활용 팁
항목체크 포인트
운영일지 작성 | 각 공정별 운전상태, 이상 유무 매일 기록 |
슬러지 처리비 산정 | 함수율, 유기물 함량에 따라 비용/편익 분석 |
자동수질측정기기 | 보정주기, 오차 허용범위 관리 필수 |
펌프장 무인운전 | 일일 순회점검과 비상알람체계 구축 필요 |
📥 첨부된 '붙임자료' 구성 예시
- 붙임 1: 유지관리지침서 작성양식
- 붙임 5: 점검결과 보고서 예시
- 붙임 8: 하수관로 점검요령
- 붙임 11: 집중강우 중점관리구역 점검표 등
각 지자체나 운영기관은 해당 양식을 따라 문서를 작성하고 시스템에 등록해야 합니다.
✅ 마무리: 2025 지침의 핵심은 ‘표준화’와 ‘안전’
2025년 개정 지침은 단순히 문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수도 관리의 일관성과 법적 책임성을 확보하고,
무엇보다 시민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우선시하는 운영관리 체계를 만들기 위한 필수 매뉴얼입니다.
👨🔧 하수도 담당자, 민간위탁업체, 환경기술사무소, 그리고 지자체 담당자 모두에게 반드시 필요한 가이드라인!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지침(2025.2.).pdf
2.0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