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환경 용어 총정리
환경과 물관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물환경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봤습니다.
환경영향평가, 수질 기준, 권역 계획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들입니다.
한 번쯤 정리해서 기억해두면 실무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분들께도 도움이 될 거예요!

✅ 좋은물(Good Water)
- 정의 : 「물환경목표기준 평가규정」에 따라 설정된 수질 기준을 충족하는 물
- 기준 :
-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 3.0 mg/L
- TP (총인) ≤ 0.1 mg/L
- 의미 : 수생태계 보호와 인간의 쾌적한 환경유지를 위한 목표 수질
✅ 목표기준(Target Standard)
- 근거법 : 「물환경보전법」
- 내용 : 중권역별로 설정된 수질 등급 기준
- 목적 : 권역별 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함
✅ 대권역(Large Watershed)
- 정의 : 산맥을 기준으로 형성된 자연 유역 단위
- 구성기준 :
- 우리나라의 5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을 중심으로 설정
- 기후학적 특성과 태풍 영향 등을 고려
- 인문·사회적 수질 및 환경오염 특성을 반영
- 예시 : 한강 대권역, 낙동강 대권역 등
✅ 중권역(Mid-Watershed)
- 기준점 : 하천 합류지점을 기준으로 유역 출구 설정
- 면적기준 : 최소 100 km² 이상의 규모로 설정
- 기능 : 수질 평가 및 목표기준 설정의 주요 단위
✅ 권역(Region)
- 정의 : 여러 유역 또는 대권역을 편의상 묶어 설정한 임의의 구역
- 활용 : 행정적, 정책적 수질관리 계획 수립에 사용
✅ 수계(River System)
- 정의 : 대권역보다 작은 단위의 유역
- 예시 : 한강수계, 낙동강수계, 금강수계 등
- 특징 : 주로 수자원 관리나 오염총량 관리 등 실무에서 많이 사용
✅ 하천(River)
- 정의 : 일정한 흐름을 가진 물길
- 특징 : 시작점과 끝점 사이에서 다양한 지형적 특성을 보임
- 형태 : 지표를 따라 흐르며 지류 및 본류로 구분 가능
✅ 호소(Lakes and Reservoirs)
- 정의 : 물이 고여 있는 장소로, 다음 중 하나에 해당
- 인공적 : 댐, 보, 둑 등을 설치해 물을 가둔 곳
- 자연적 : 하천이나 계곡에서 자연적으로 물이 고인 곳
- 지형적 : 화산활동 등으로 땅이 꺼지면서 형성된 곳
- 적용기준 : 만수위(또는 계획홍수위) 범위 내 토지와 수면
✅ 부영양화지수(Trophic State Index, TSI)
- 정의 : 호소의 영양상태(오염도)를 수치화한 지수
- 특징 : 우리나라 호소 특성에 맞게 주요 원인물질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발
- 용도 : 수질 등급 판단, 관리 우선순위 설정 등에 활용
✅ 부하지속곡선(Load Duration Curve)
- 정의 : 수질오염 부하량의 분포를 도식화한 곡선
- 작성 방식 : 일별 유량자료와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부하량을 계산하고, 이를 크기순으로 나열
- 활용 : 수질관리계획 수립, 오염기여율 분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