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산딸기, 알고 보면 이렇게 많다! 🍓 산딸기, 알고 보면 이렇게 많다!― 우리 숲속 딸기 종류 완전 정복안녕하세요 😊봄부터 여름까지, 숲길을 걷다 보면붉은 열매들이 수줍게 얼굴을 내밀곤 합니다.“딸기다!” 하고 반가워하며 다가가지만,자세히 보면 그 생김새가 조금씩 다르다는 걸 눈치채셨을 거예요.우리가 흔히 산딸기라고 부르는 식물들에는사실 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고,그 이름도, 열매도, 맛도 제각각이랍니다.오늘은 그런 산딸기류(Rubus속) 식물들을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산딸기류란?산딸기류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식물 중‘Rubus’라는 속(genus)에 해당하는 식물들을 말해요.이 속에는산딸기복분자장딸기멍석딸기줄딸기검은산딸기등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모두 딸기처럼 생긴 열매를 맺지만,맛, 형태, .. 2025. 4. 14.
진달래 vs 산철쭉, 헷갈리는 두 봄꽃 완벽 비교! 🌸 진달래 vs 산철쭉, 헷갈리는 두 봄꽃 완벽 비교!― 꽃잎만 보고는 구분 안 돼요! 잎·개화시기·독성까지 총정리안녕하세요! 봄을 사랑하는 자연 블로거 [닉네임]입니다 🌿산길을 걷다 보면 연분홍빛 꽃이 산을 물들이는 광경을 볼 수 있죠.그 꽃, 혹시 진달래인가요? 아니면 산철쭉인가요?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둘을 헷갈리기 쉽습니다.실제로 꽃만 보고는 전문가들도 한눈에 구분하기 어렵다는 말도 있어요.오늘은 이 헷갈리는 두 봄꽃을외형부터 개화시기, 생태적 차이, 심지어 독성까지완벽하게 비교해드릴게요!🌷 두 꽃의 정체 먼저 파악해봅시다! 항목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산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분류진달래과 / 낙엽관목진달래과 / 낙엽관목개화시.. 2025. 4. 14.
도롱뇽의 모든 것 🐾 도롱뇽의 모든 것― 숲속의 조용한 파수꾼, 도롱뇽을 아시나요?안녕하세요!오늘은 우리 숲속에 숨어 사는 조용한 생명체,도롱뇽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비 오는 날 뒷산 계곡에서 우연히 마주쳤던 그 미끈한 생물.혹은 어릴 적 물장구치던 개울가에서 보았던 조그만 친구.바로 도롱뇽이죠 🦎하지만, 알고 보면 이 친구들…기후변화의 경고등이자, 생태계 건강을 알려주는 지표종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도롱뇽, 어떤 생물일까?분류: 양서류, 꼬리를 지닌 도롱뇽목서식지: 청정 계곡, 습지, 산지의 작은 웅덩이호흡: 폐 + 피부호흡, 피부가 항상 젖어 있어야 생존 가능번식: 물속에 알 낳고, 올챙이 형태 → 아가미형 유생 → 성체활동시기: 주로 봄~초여름, 겨울엔 토양 속 월동📌 도롱뇽은 피부를 통해 산소.. 2025. 4. 13.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현황(24년12월) 🌿 대한민국 생태·경관보전지역,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2024년 12월 기준 현황 완전 정리)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공간’,바로 생태·경관보전지역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흔히 보호구역 하면 ‘국립공원’이나 ‘습지보호구역’을 떠올리시죠?하지만 그 외에도 우리나라엔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지정된생태·경관보전지역이라는 공간이 따로 존재합니다.자연 생태계가 우수하거나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지역을지정하고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인데요.그 구체적인 현황을 2024년 12월 기준으로 살펴볼까요?✅ 생태·경관보전지역이란?법적 근거: 「자연환경보전법」 제12조지정 절차: 생태적·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지역을 발굴 → 지정계획 수립→ 시·도지사 및 지역주민 의견 수렴 → 관계 부처 협의→ 중앙환경정.. 2025. 4. 12.
환경영향평가서등 작성 등에 관한 안내서 일부 개정!(2025년 3월) 📘 2025년 3월, 환경영향평가 작성 안내서 일부 개정!― 실무자 필독! 새롭게 바뀐 작성 기준 총정리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하고 계신가요?혹은 환경계획 업무에 참여하고 있다면,이번 2025년 3월 26일 자 개정 소식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서등 작성 등에 관한 안내서」를 일부 개정해법령과 제도의 최신 변화, 조사 방법의 정비,그리고 작성 실무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 가이드를 제시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요 개정사항만 쏙쏙 뽑아,실무에 바로 반영할 수 있도록 안내드릴게요.🛠️ 1. 최근 법령 및 제도 반영"이젠 예외 조항도 안내서에 반영 완료!"📌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 제외사항이 안내서 본문에 반영되었습니다.법령에만 있던 제외 조건이 이제 작성 단계부터 참고 가능해.. 2025. 4. 11.
물환경 용어 총정리 💧 물환경 용어 총정리환경과 물관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물환경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봤습니다.환경영향평가, 수질 기준, 권역 계획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들입니다.한 번쯤 정리해서 기억해두면 실무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분들께도 도움이 될 거예요!✅ 좋은물(Good Water)정의 : 「물환경목표기준 평가규정」에 따라 설정된 수질 기준을 충족하는 물기준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 3.0 mg/LTP (총인) ≤ 0.1 mg/L의미 : 수생태계 보호와 인간의 쾌적한 환경유지를 위한 목표 수질✅ 목표기준(Target Standard)근거법 : 「물환경보전법」내용 : 중권역별로 설정된 수질 등급 기준목적 : 권역별 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함✅ 대권역(Large W.. 2025. 4. 9.